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근염이란??(원인, 증상, 치료방법)

심근염이란 심장 근육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심근염은 왜 생길까?

심근염의 원인은 무수히 많다고 한다.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흔히 감염성, 독성, 면역성 등 3가지로 나누게 되며, 이 중에서 바이러스성에 의한 감염성 심근염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근염의 증상

심근염의 증상으로는 흉통이나 호흡곤란, 열, 오한, 근육통, 관절통 등이 나타난다.

흉통은 약 35%가 환자들에게서 발생하고 있으며 날카롭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으로 이러한 통증은 급성심근경 생의 증상일 수도 있어 심근염과 급성심근경색의 감별이 어려울 수도 있다.

심부전 증세가 동반된다면 호흡곤란, 기좌 호흡 등을 호소할 수 있으며 어린이에게는 열, 호흡곤란, 식은땀, 청색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히 감기와 비슷하게 열, 오한, 근육통 등으로 발현될 수 도이 ㅆ다.

심근염증의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심장 근육에 급성 또는 만성으로 주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 약물이나 주변 환경의 독소에 의한 독성 심근염, 면역학적 이상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감염성 원인

바이러스성이 가장 흔하다. 아데노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장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및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이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최근 면역결핍성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는 에이즈 바이러스도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세균성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디프테리아가 가장 흔하게 심근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포도얄균을 비롯한 거의 모든 세규들이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다.

 

독성 원인

의학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서의 여러 물질들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면역성 원인

면역학적 심근염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여러 가지 결체조직질환뿐만 아니라 가와사키병, 사코이도증 및 거대세포동맥엽 등의 질환에서도 심근염이 발생할 수 있다.

 

심근염의 치료방법

심근염은은 대부분의 경우 급성기에 감소된 심장 기능의 지지 및 부정맥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하여 심부전의 합병증 발생에 대한 지지적 치료를 한다. 심근염 자체에 대한 치료로는 현재까지 성공적인 치료법은 없다.

심근염증 예방방법

심근염의 특별한 예방 조치는 아직 없지만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건강한 생활(손 씻기 등)을 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