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너스의 주가가 상장하였다. 상장 결과는..?
그야말로 처참했다.
지너너스의 공모가 2만 원보다 한참 못 미치는 13,400원에 마감되었다.
공모주는 공모만 하면 돈 번다는 인식을 확 깨어버린 주식이다.
지니너스는 무슨 회사일까?
이왕 물린 거.. 손절할 수는 없고, 지니너스의 대해서 공부나 해보자.
우선 지니너스의 기업개요를 살펴보자
지니너스는 유전체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NGS(Next Generation Sequnecing)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고 정밀 의료 시장을 선도하는 생물정보분석 전문 기업이다.
NGS 기반 암 유전체 진단솔루션인 CancerSCAN, 액체생검 솔루션 LiquidSCAN 등을 병원과 제약사, 연구자에게 제공하며 초정밀 싱글셀 분석 기술을 국내에 선도적으로 도입하여 싱글셀 플랫폼인 Celinus를 운영하고 있다.
즉 지니너스는 정밀의료 유전체 진단 전문기업이다.
지니너스는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산하 삼성유전체연구소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스핀오프 방식으로 설립된 기업이다. 가장 큰 문제는 상반기 매출액이 3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1%나 증가하였지만 아직까지 영업손실 34억 원으로 적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지니너스는 이번 공모를 통해 총 400억 원을 조달하게 되었고 향후 이 금액을 가지고 현재 진행 중인 싱글셀 분석 서비스인 '셀리너스'를 활용해 신규 약물 타깃 및 바이오마커 발굴을 신약개발 사업으로 연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왕 이렇게된거 신약이 나오거나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할 때까지 존버 해보자!!
지니너스 핵심기술
Cancer genomics
"조직생검 기반 암 유전체 분석"
15만 건 이상의 Public 유전체 DB와 삼성서울병원과 연계하여 확보한 15,000건 이상의 임상 검체 DB를 활용하여 관련 유전자 변이 빈도 정보를 자체 DB로 구축하였다. 자체 DB를 기반으로 미량의 조직 샘플과 *FFPE 처리된 장기 보관 샘플에서도 위양성 변이 제거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정상 조직의 레퍼런스 없이도 변이 검출이 가능한 암 유전체 분석 기술 플랫폼을 확립하였다. 암 유전체 분석 기술은 암 환자의 조직 샘플로 이뤄지며, 돌연변이 타입(CNV, SNV, InDel, Fusion)을 검출할 수 있는 BI 기술과 예후 예측을 가능케 하는 AI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암 유전체를 분석하여 적합한 표적 항암제를 제시할 수 있으며, MSI(Microsatellite Instability,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와 TMB(Tumor Mutation Burden, 종양변이부하) 분석을 통해 환자 맞춤형 면역항암제와 정밀 의료에도 활용할 수 있다.
Liquid biopsy
"액체생검 기반 암 유전체 분석"
지니너스는 임상연구를 바탕을 NGS 기반 액체 생검 분석 기술을 개발하였다. 혈액 내 cell-free DNA(cfDNA)를 표적심층시컨싱으로 분석함으로써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종양 특이 체세포 돌연변이를 가진 ciculating tumor DNA(ctNDA)를 식별할 수 있으며, 소량의 DNA에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유전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시퀀싱 에러를 제거하는 기술을 통해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보하여 글로벌 수준의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액체생검 기반 암 유전체 분석 기술은 간단한 채혈을 통해 이뤄지며, 이를 통해 암 조기진단부터 치료 및 재발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며 전주기적 임상 및 맞춤 치료제 선별에 활용할 수 있다.
Single Cell
"싱글셀 분석"
싱글셀분석기술은 단일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발현량과 유전자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 다양성을 전량화하고 세포 유형, 상태 및 세포 전이 등을 구명할 수 있다. 싱글셀분석은 임상검체 전처리 과정에서 검체의 품질 관리가 어려우며 특히 검체 종류별로 처리과정이 상이하여 다양한 검체의 실험 경험과 노하우가 중요하다. 지니너스는 싱글셀 분석 연구로 약 50여개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국제 프로토콜 수립 연구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샘플을 최적화시키는 노하우를 축적하였다. 또한, 실험 및 분석에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소규모의 연구소 및 연구자가 진행하기 어려운 분석 과정을 대행하고 실험 실패율을 최소하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
싱글셀분석은 조직 또는 혈액 등의 샘플에서 세포를 분리, 분석하여 이뤄지며 표적치료 세분화와 종양 미세환경을 고려한 면역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